
정연교 명예교수
- 정치철학, 윤리학
- 학위 : 미 로체스터 대학교 철학과대학원졸업(철학박사, 1992년2월)
- 연락처 : 02-961-0877
- 연구실 : 교수회관 117호
- 직급 : 교수
- ykjung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84. 성균관 대학교 철학과 졸업
- 1986. 미 미시간 주립대학교 철학 석사
- 1992. 미 로체스터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졸업(철학박사)
- 1993- 현재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논문
- John Locke’s Political Theory of Political Obligation
- 진화론의 윤리학적 함의
- 사회생물학, 새로운 사회과학 탐구방법론
- ‘도덕성의 진화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탐구’외 다수
- 로스바드의 자연법적 소유권 이론에 대한 비교_자유와 시장_2010
- 자유주의 국가이론 : 정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성찰적 반성_철학과 현실_2010
저서 / 기타
- 인간이란 무엇인가_민음사_1997
- 맥루언을 읽는다_궁리_2006
- (21세기)다윈 혁명_사이언스북스_2009
- 철학의 전환점_프로네시스_2012
- 철학적 인간학_하워드케인즈_철학과 현실사_1996
-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?_피터싱어_세종서적_1999
- Objective knowledge: an evolutionary approach_Popper Karl R

허우성 명예교수
- 불교철학, 비교철학
- 학위 : 미국 하와이 대학교 철학박사(1988년 2월)
- 연락처 : 02-961-0231
- 연구실 : 교수회관 401호
- 직급 : 교수
- woohuh@hanmail.net
학력 / 경력
- 1975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
- 1981 서울대학교 철학석사(불교철학 전공)
- 1981.08 – 1988 미국 하와이 대학교 철학박사(불교 및 비교철학)
- 1986.03 – 1986.08 일본 경도대 종교학 세미나 연구원 역임
- 2004.07-2004.08 일본 동경대 외국인 연구원
- 1988- 2018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- 2019 -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명예교수
논문
- 니시다의 인격_동과 서의 사유체계_민족사_1991
- 무아설:자아해체와 세계지멸의 윤리설_철학연구 29집_철학연구회_1991
- 나야이론의 종합주의와 대화의 조건_대화의 철학_서광사_1992
- 만해의 불교이해_만해학보 1집_큰나_1991
- 명저탐방-법구경_철학과현실 18호_철학과 현실사_1993
- 불이냐 돈이냐_가산학보 3집_가산불교문화연구원_1994
- 불가철학에서 본 삶 _ 삶 그리고 죽음_정신문화연구원_1995
- 만해와 성철을 넘어서 : 새로운 불교 이념의 추구_만해학보2집_한국정신문화연구원_1996
- 니시다와 서양철학 : 시간관을 중심으로 _동양학 26집_단국대부설동양학연구소_1996
- 정보사회의 사이비성:불교적비판_철학과 현실_철학과 현실사_1996
- 만해와 금오_가산학보_가산불교 연구원_2004
- 간디와 성철_퇴옹성철의 깨달음과 수행-성철의 선사상과 불교사적 위치_예문서원_2006
- The philosophy of history in “later” Nishida: A Philosophic Turn_Philosophy East and West vol. 40.3_1990
- Manhae’s Understanding of Buddhism_Korea Journal(Unesco), vol. 40-no.2_2000
- Gandhi and Manhae: ‘Defending Orthodoxy, Rejecting Heterodoxy’ and ‘Eastern Ways, Western Instruments’_Korea Journal(Unesco), vol. 41-no.3_2001
- A Monk of Mukti and Karma: The Thought and Life of Baik Yongsung_Korea Journal(Unesco), vol. 45-no.1_2005
저서 / 기타
- 근대일본의 두 얼굴: 니시다 철학 연구_ 문학과 지성사_2000
- 간디의 진리 실험 이야기_풀빛_2010
- 불교의 욕망론_욕망론_경서원_1995
- 지눌의 윤리사상의 특성과 한계_지눌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_한국정신문화 연구원_1997
- 불교적 인간관_인간이란 무엇인가_민음사_1997
- 불교의 구원론과 현대:선정(禪定)과 광고_문명의 전환과 한국문화_철학과 현실사_1997
- 기억간의 전쟁:내셔널리즘의 충돌_일본의 발명과 근대_이산_2006
- 인간이란 무엇인가_민음사_1997
- 印度社會와 新佛敎運動_山崎元一共譯(전재성)_한길사_1983
- 인도인의 인생관, The Hindu View of Life_라다크리슈난_서광사_1994
- 인도인의 길, The indian Way_콜러_소명_2003
- 마음모음 The Sun My Heart_Thich Nhat Hanh_나무심는사람_2004
- 간디의 도덕정치사상(전6권)_마하트마 간디_소명_2004
- 초기불교의 역동적 심리학_요한슨_경희대 출판국_2006,2010 초판4쇄
- 돈,섹스, 전쟁 그리고 카르마_데이비드 로이_불광출판사_2012

김수중 명예교수
- 유학, 중국철학
- 학위 :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(1986년 2월)
- 연락처 : 02-961-0229
- 연구실 : 교수회관 108호
- 직급 : 교수
- sujung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72.03-1976.02 서울대학교 인문대 철학과 졸업
- 1976.03-1978.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압(석사)
- 1983.02-1986.02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. 철학박사 취득
- 1981.03-1985.02 서울대학교 인문대 철학과 시간강사
- 1985.03-1992.02 경희대학교 문이과대학 철학과 대우전임강사
- 1992-2018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- 2018-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명예교수
논문
- 名家와 墨家의 변론에 나타난 논리사상_철학사상의 제문제 (Ⅳ)_민족사_1986
- 명말 태주학파의 사회사상_시대와 철학 1호_까치_1987
- 모택동 초기사상의 형성_광장_1889
- 태주학파의 학문성격과 이상사회의식_ 철학 제33집_1990
- 양명학의 `대동’사회의식에 관한 연구-왕수인,왕간,하심은을 중심으로_박사학위논문_서울대 대학원_1991
- 양명학에서 본 주체성의 문제_철학연구_철학연구회_1991
- 주역,중용,사이버네틱스_과학사상 제9호_1994
- 청초 唐甄의 철학사상_철학사상 제 4호_서울대철학사상연구소_1994
- 대동사회와 유토피아_철학연구_철학연구회_1996
- 明代心學의 분지;하심은과 이지의 심학_孔子學 제2호_1996
- 유가의 인간관_인간이란 무엇인가?_민음사_1997
- 동양철학과 매체_정보화 사회의 철학적 진단_철학과 현실사_1999
- 근대 중국의 유토피아 의식_시대와 철학_1998
- 溫故와 知新의 辨證法_오늘의 동양사상_1999
- 원시유가의 덕목들과 도덕원리_철학연구_철학연구회_2000
- 중국철학의 연구와 과제_철학연구50년_이화여대출판부_2003
- 노자와 황노사상-『황로백서』를 중심으로_ <동양철학연구> 47호_동양철학연구회_2006
- 100대 한류 디자인문화 분류 및 산업적 활용방안_ <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>12권4호_한국디자인문화학회_2006
- 태주학파의 민간교육_ <양명학>20호_한국양명학회_2008
- 개념 존재 삶 -동양사상과 개념의 문제_ <개념과 소통> 제2권1호_한림과학원_2009
- 우주에 있어서 인간의 지위 -하서 천명도의 의미_ <하서 김인후의 사상>_하서학술재단_2010
-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유교를 재조명하다(서평)_ <인문논총> 67권_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_2012
저서 / 기타
- 강좌 한국철학_예문서관_1995
- 윤리질서의 융합_철학과 현실사_1996
- 인간이란 무엇인가_민음사_1997
- 동양철학은 물질문명의 대안인가_웅진_1998
- 空과 緣起의 현대적 조명_고려대장경연구소_1999
- 공동체란 무엇인가_이학사_2002
- 강화학파 연구문헌해제_인천학연구원_2007
- 모색_씨알사상연구소_2010
-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_金觀濤/(공역)_도서출판 天池_1994
-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_천지출판사_1994
- 강설 황제내경 2_청홍출판사_2011

최정식 교수
- 희랍철학, 프랑스철학, 형이상학
- 학위 : 프랑스파리-소르본느(파리 IV)대학졸업(철학박사, 1992년2월)
- 연락처 : 02-961-0885
- 연구실 : 교수회관 407호
- 직급 : 교수
- jschoi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81.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
- 1983.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 철학과 졸업(문학석사)
- 1992. 프랑스 파리-소르본느(파리IV)대학졸업(철학박사)
- 1983~1985, 1993~1995. .서울대, 외대, 시립대, 이대 강사
- 1995.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- 1995. 박홍규전집 간행위원회 상임윤문위원
- 2005.5. 한국프랑스철학회 창립(총무이사)
- 2009.5.-2011.4. 한국 프랑스철학회 회장
- 2014.8.-2016.7 서양 고전철학회 회장
- 2016.8.-2018.7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
- 1993- 현재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논문
- Les genres supremes dans le Sophiste de Platon_(박사학위논문)_(소르본느)_1992
- 마르틴 하이데거에 있어서의 존재와 physis_철학 19호 pp.153-178_한국철학회_1983
- 존재와 시간&에 있어서의 역사성_철학논구 12호 pp.129-148_서울대철학과_1984
- 플라톤의 기초존재론 초_서양고전학연구 7호 pp.129-151_한국서양고전학회_1993
- 정신주의적 실재론의 연원_과학과 철학 4호 pp.80-99_과학사상연구회_1993
- 베르크손 무이론의 분석_과학과 철학 5호 pp.54-81_과학사상연구회_1994
- 지속과 순간-베르크손과 바슐라르_서양고대철학의 세계 pp. 401-422_한국서양고대전철학회_1995
- 베르크손의 형이상학_철학과 현실 26호 pp.170-181_철학문화연구소_1995
- 소피스트편의 존재론적 성격- <소피스트>편 분석(I)_서양고전학연구 10호, pp.196-220_한국서양고전학회_1996
- 베르그송_103인의 현대사상 _pp.277-283_민음사_1996
- 우리, 우리의 철학, 그리고 철학사_한국철학의 쟁점(철학 별책 5권) pp.103-117_철학과 현실사_1999
- 형이상학과 서양의 본질:박홍규론_비평 창간호pp.325-338_1999
- 창조적 진화_동서양의 고전_한국방송통신대학교_2001
- 소피스트편의 세 가정과 변증법_대동철학 24호 pp.439-465_대동철학회_2004
- 대지의 아들들과 존재의 정의_서양고전학 연구 21호,pp.85-105_한국서양고전학회_2004
- 소피스트편의 “완전한 존재(pantelos on)”_철학연구 64호 pp. 95-112_철학연구회_2004
- 플라톤의 운동론_시대와 철학 15-2_한국철학사상연구회_2004
- 최고류들의 관계_서양고전학연구 22호_한국서양고전학회_2004
- 베르크손은 일원론자인가?_「철학」98집, 193-216쪽_한국철학회_2009
- Une interpretation metaphysique de la philosophie bergsonienne_Annales bergsoniennes IV_2009
- 제논의 네 번째(스타디움의) 역설 철학사상, 57, 2015. 8.
- 지속과 “차이의 존재론” 철학사상, 61, 2016. 8
- 들뢰즈의 베르크손 원뿔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-베르크손과 들뢰즈(III), 철학사상, 2017.
- 들뢰즈의 시간의 세 종합에 대한 비판적 고찰, 인문학연구, 38, 2018.
- 박홍규와 형이상학, 서양고전학 연구, 58-2, 2019. 가을, 317-328쪽.
저서 / 기타
- 박홍규의 철학_이대출판부_2011
- 고전형이상학의 전개_철학과 현실사_1995
- 현대 존재론의 향방_철학과 현실사_1995
- 서양 고대 철학의 세계_서광사_1995
- 인간이란 무엇인가_민음사_1997
- 하이데거와 철학자들_철학과 현실사_1999
-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_문예출판사_2005
- 마음, 어떻게 움직이는가_운주사_2009
-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_앙리 베르크손_아카넷_1999
- 습관에 대하여_라베쏭_자유문고_2016
- 물질과 기억_앙리 베르크손_현대철학총서2, 자유문고, 2017. 12.
- 창조적 진화_앙리 베르크손_현대철학총서2, 자유문고, 2020. 10.

박인철 교수
- 독일철학, 현상학
- 학위 : 독일 부퍼탈 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(2000년 2월)
- 연락처 : 02-961-9167
- 연구실 : 교수회관 311호
- 직급 : 교수
- heimwelt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86.02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
- 1988.02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석사
- 1994.02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
- 2000.02 독일 부퍼탈 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
- 2002.09-2004.08 목포대학교 윤리교육과 전임강사
- 2004.09 – 현재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논문
- <후설의 생활 세계론> 철학논구16, 서울대학교 철학과, 1988
- <후설 현상학에 있어서 반성의 의미와 역할> 철학논구20, 서울대학교 철학과, 1992
- <현상학의 학문성과 지평성-후설 후기철학을 중심으로> 철학연구53, 철학연구회, 2001
- <후설의 의사소통이론> 철학과 현상학연구17, 한국현상학회, 2001
- <포용과 책임:사랑의 공동체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> 철학과 현상학 연구18, 한국현상학회, 2002
- <생활세계적 아프리오리와 문화의 현상학> 철학연구57, 철학연구회, 2002
- <현상학적 사회이론-개인과 사회화의 관계를 중심으로> 철학연구59, 철학연구회, 2002
- <기술시대와 현상학-생활세계와 기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> 철학 75, 한국철학회, 2003
- <사회생물학과 현상학> 철학과 현상학 연구 21, 한국현상학회, 2003
- <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-후설,하이데거,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> 철학연구66, 철학연구회, 2004
- <정치철학으로서의 현상학의 가능성-아렌트의 눈으로 본 후설> 철학과 현상학 연구 23, 한국현상학회, 2004
- <타자성과 친숙성-후설과 레비나스의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, 한국현상학회, 2005
- <자연의 유한성과 무한성-근세의 무한우주관 비판과 새로운 자연관의 모색-현대문화와 철학의 새 지평> 한국철학회편, 철학과현실사, 2005
- <자유의 현상학적 이념-아렌트와 레비나스의 자유 개념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연구71, 철학연구회, 2005
- <생활세계와 의사소통-후설과 하버마스의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과 현상학 연구 31, 한국현상학회, 2006
- <현상학과 탈주체성 -현상학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성격> 인문학 연구 10, 경희대 인문학 연구원, 2006
- <현상학에서 낯설음의 문제> 철학과 현상학 연구 33, 한국현상학회, 2007
- <인문학과 생활세계> 인문학 연구 12, 경희대 인문학 연구원, 2007
- <현상학과 평화 -평화의 현상학적 철학적 정초> 철학 95, 한국철학회, 2008
- <현상학과 문화 -자연과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> 철학 101, 한국철학회, 2009
- <현상학과 수사학 -고대 소피스트 수사학의 현상학적 함축과 철학적 정당화를 중심으로> 범한철학 52, 범한철학회, 2009
- <숭고의 현상학과 현상학적 예술론 -하이데거와 메를로-퐁티의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연구 85, 철학연구회, 2009
- <상호문화성과 윤리 -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> 철학 103, 한국철학회, 2010
- <후설과 키에르케고르 -차이의 극복을 중심으로> 철학연구 89, 철학연구회, 2010
- <이질감과 친근감 -상호문화성의 양면성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> 철학과 현상학 연구 50, 한국현상학회, 2011
- <공감의 현상학 -공감의 윤리적 성격에 대한 후설과 쉘러의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연구 99, 철학연구회, 2012
- <미적 감정과 상호주관성 -칸트와 후설의 비교를 중심으로> 철학 111, 한국철학회, 2012
- <현상학과 신비주의 -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> 철학연구 103, 철학연구회, 2013
- <후설의 정치철학 –자유와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->, 철학 122, 한국철학회, 2015.
- <현상학과 감성교육 –후설 철학을 중심으로->, 철학 129, 한국철학회, 2016.
- <인간성과 문화 -후설의 철학적 문화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->, 철학연구 113, 철학연구회, 2016.
- <상호문화성과 동질성: 상호문화성에서 동질성의 의미와 그 철학적 함축>, 코기토 82, 부산대 인문학연구소, 2017.
- <실러의 자유 개념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–타자성과 자율성의 관계를 중심으로>, 철학 136, 한국철학회, 2018.
- <트랜스휴머니즘과 생활세계: 후설 현상학의 관점에서>, 철학연구 126, 철학연구회, 2019.
- <후설의 생활세계 교육론 –신체성, 감정이입, 자유 개념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을 중심으로->, 철학 141, 한국철학회, 2019.
- <자유와 교육: 루소와 쉴러의 교육론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을 중심으로>, 철학연구 130, 철학연구회, 2020.
저서 / 기타
- 〈Die Wissenschaft von der lebenswelt. Zur Methodik von Husserls spater Phanomenologie〉(박사학위논문) Rodopo, 2001
- <기술시대와 현상학 -실천철학으로서의 현상학의 가능성>, 경희대학교 출판국, 2005
- <에드문트 후설 -엄밀한 학문성에 의한 철학의 개혁>, 살림출판사, 2013
- <현상학적 운동 1> 하버트 스피겔버그(최경호 공역), 이론과실천사, 1991
- <<현상학과 상호문화성>>, 아카넷, 2015.

문석윤 교수
- 조선성리학, 동아시아철학
- 학위 :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박사(1995년8월)
- 연락처 : 02-961-0732
- 연구실 : 교수회관 114호
- 직급 : 교수
- symoon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85.02 서울대 철학과 졸업
- 1987.02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석사
- 1990.03-1994.02 .泰東古典硏究所(芝谷書堂) 연수
- 1995.08.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박사
- 1995.08.-2006.08. 명지대학교 철학과 교수
- 2003.09.-2004.02. 東京大 韓國朝鮮文化硏究室 방문학자
- 2004.03.-2004.08 中國北京社會科學硏究院 방문학자
- 2006. 9 – 현재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
논문
- 南塘 韓元震의 莊子哲學비판_哲學論究21_서울대학교 철학과_1994
- 巍巖과 南塘의 ‘未發’ 論辨_泰東古典硏究11_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_1995
- 中國 先秦儒學에서의 自然과 道德_철학연구41_철학연구회_1997
- 論語에서’知’의 의미 – 知字淺釋_東洋哲學硏究18_동양철학연구회_1998
- 朝鮮湖洛論辨中知覺論的意義_韓國學論文集7_北京大學校 韓國學硏究中心_1998
- 유교적 기독교는 가능한가?_헤겔학보8_한국헤겔학회_1999
- 朱熹에서의 理性과 歷史_泰東古典硏究16_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_1999
- 퇴계학(退溪學) 연구의 현황과 전망_人文科學硏究論叢22_明知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_2000
- 퇴계에서 리발(理發)과 리동(理動), 리도(理到)의 의미에 대하여 ? 리(理)의 능동성 문제_退溪學報110_퇴계학연구원_2001
- 외암(巍巖) 이간(李柬)과 남당(南塘) 한원진(韓元震)의 인물성동이논변(人物性同異論辨)에 관한 연구_동방학지108_연세대 국학연구원_2002
- 선진(先秦) 유학(儒學)에서 지(知)와 인식(認識)의 문제_철학76_한국철학회_2003
- 退溪의 ‘未發’論_퇴계학보114_퇴계학연구원_2003
- 다산 정약용의 새로운 도덕 이론:마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_철학연구90_대한철학회_2004
- 경자본(庚子本) 퇴계집(退溪集)과 경희대 도서관 소장 퇴계집 3件에 관하여_人文學硏究10_경희대학교 인문학 연구원_2006
- 葛庵 李玄逸의 性理說?, 民族文化29_民族文化29_민족문화추진회(현 한국고전번역원)_2006
- ?退溪集? 所載 栗谷 李珥 問目 자료에 관하여_退溪學報122_退溪學硏究院_2007
- 마테오리치(Matteo Ricci) 천주실의(天主實義)에서 ‘천학’(天學)의 의의에 관하여_누리와 말씀23_인천가톨릭대학교_2008
- 湖洛論爭 形成期 未發論辨의 樣相과 巍巖 ‘未發論’의 특징_韓國思想史學31_韓國思想史學會_2008
- 星湖 李瀷의 心說에 관하여 – 畏庵 李의 堂室銘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_철학연구86_철학연구회_2009
-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맹자(孟子)‘호연장(浩然章)’ 논란과 그 의의 -송시열(宋時烈)의 호연장질의(浩然章質疑)를 중심으로_韓國文化47_규장각한국학연구원_2009
- 맹자의 성(性), 심(心), 성인(聖人)의 도덕론_인간 환경 미래5_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_2010
- Discussions of the Uniqueness of the Sage’s Mind-and-Heart in the HorakDebate_KOREA JOURNAL51-2_UNESCO (공동) _2011
- 退溪의 聖學十圖 修正에 관한 연구_退溪學報130_退溪學硏究院_2011
- 한국학 고전 텍스트 정본 편성의 의의와 실제: 한국학 고전 텍스트 정본 편성의 의의와 실제 – 정본 퇴계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_정신문화연구36_한국학중앙연구원_2012
- 順菴 安鼎福의 性理說–擬問의 내용을 중심으로_韓國實學硏究25_韓國實學學會_2013
- 西厓 柳成龍의 「主宰說」에 대하여_退溪學과 儒敎文化55_退溪硏究所_2014
- 退溪 文集의 정본 편성 과정에 대한 일 고찰- 惺齋手筆 『退溪先生書』에 수록된 자료들을 중심으로_퇴계학논집17_영남퇴계학연구원_2015
- 소재(穌齋) 노수신(盧守愼)의 「숙흥야매잠해(夙興夜寐箴解)」에 관한 연구_韓國思想史學51_한국사상사학회_2015
- 주자에서 도덕실천과 감정, 그리고 수양의 문제_東洋哲學46_韓國東洋哲學會_2016
- 『退溪集』 書簡 編成의 體制와 『定本 退溪全書』의 특징_退溪學報142_退溪學硏究院_2017
- 『退溪先生文集』에서 『定本 退溪全書』까지_韓國思想史學55_韓國思想史學會_2017
- 退溪 書札의 意義와 現況_退溪學論集25_嶺南退溪學硏究院_2019
저서 / 기타
- 湖洛論爭 형성과 전개_동과서_2006
- 동양적 마음의 탄생_글항아리_2013
- 인간과 자연_서울:철학과현실사_1998
- 21세기의 생명문화와 기독교_서울:쿰란출판사_2000
-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동양인의 사유_도서출판 천지_2003
- 韓國儒學思想大系 III 哲學思想編 下_한국국학진흥원_2005
- 21세기의 동양철학: 60개의 키워드로 여는 동아시아의 미래_을유문화사_2005
- 담헌 홍대용 연구_서울: 사람의무늬_2012
- 朝鮮儒者對儒家傳統的解釋_臺北: 臺大出判中心_2012
- 반계 유형원 연구_서울: 사람의무늬_2013
-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_서울: 성균관대학교출판부_2013
- 마음과 철학: 유학편_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부_2013 (공저)
- 퇴계학과 근기실학_경인문화사_2014 (공저)
- 창구객일 연구_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_2014 (공저)
- 동서양 문명과 과학적 사유_도서출판문사철_2015 (공저)
- 풍석 서유구 연구下_사람의무늬_2015 (공저)
- 공동체 없는 공동체_알렙_2020 (공저)
- 역주 시경강의1-5_서울: 도서출판 사암 (공역: 실시학사 경학연구회)_2008
- 정산 이병휴의 시와 철학_서울: 사람의무늬 (공역: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?경학연구회)_2013
- 대학공의 대학강의 소학지언 심경밀험_사암_2016(공역)
- 성호이익의 심경질서_사람의무늬_2016(공역)

최성호 교수
- 논리학, 형이상학
- 학위 : 서울대 대학원박사(2003년2월)
- 연락처 : 02-961-9291
- 연구실 : 교수회관 401호
- 직급 : 교수
- choise80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95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
- 1997 서울대학교 물리학석사(물리학 전공)
- 1997.09-2003.02 서울대학교 과학철학 박사
- 2003.03-2004.02 과학문화연구센터 수도권 전임 연구원, 서울대
- 2004.02-2005.08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 Benjamin Meaker Research Fellow
- 2005.09-2006.08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과 전임강사
- 2006.08-2008-08 호주 시드니대학교 시간연구소 연구원 CHASS (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) Research Fellow
- 2007.09-2010.06 캐나다 퀸스대학교 철학과 조교수
- 2008.04-2012.08 경희대학교 철학과 부교수
- 2012.09-현재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논문
- Forthcoming, ‘Intrinsic Interferers and the Metaphysics of Superheroes’, Axiomathes
- 2019, ‘Reverse‐Cycle Intrinsic Finks’, Dialectica 73: 429-455
- 2018, (co-authoured with Michael Fara) ‘Dispositions’,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(https://plato.stanford.edu/entries/dispositions/)
- 2017, ‘Against Intrinsic Interferers: A Critique of Kittle’, forthcoming in Philosophical Quarterly
- 2017, ‘Intrinsic Interferers and the Epistemology of Dispositions’, Erkenntnis 82: 199-232
- 2013, (co-authored with Itay Shani) ‘Type-Identity Statements and the Explanatory Gap: An Argument for Compatibility’, Dialectica 67: 485-502
- 2013, ‘Can Opposing Dispositions Be Co-instantiated?’, Erkenntnis 78: 161-182
- 2012, (co-authoured with Michael Fara) ‘Dispositions’,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(to be updated by early 2018)
- 2012, ‘Intrinsic Finks and Dispositional/Categorical Distinction’, Nous 46: 289-325
- 2011, ‘What is a Dispositional Masker?’, Mind 120: 1159-1171
- 2011, ‘Finkish Dispositions and Contextualism’, Monist 94: 103-120
- 2010 ‘Dispositions and Bogus Counterexamples: Reply to Lee’, Philosophia 38: 579-588
- 2009. ‘The Conditional Analysis of Dispositions and the Intrinsic Dispositions Thesis’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78: 563-590
- 2008. ‘Dispositional Properties and Counterfactual Conditionals’ Mind 117: 795-841
- 2008. ‘The Incompleteness of Dispositional Predicates’ Synthese 163: 157-174
- 2007. ‘Causation and Counterfactual Dependence’, Erkenntnis 67: 1-16
- 2007. ‘Causes and Probability-Raisers of Processes’,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85: 81-91
- 2006. ‘The Simple vs. Reformed Conditional Analysis of Dispositions’, Synthese 148: 369-379
- 2005. ‘Understanding the Influence Theory of Causation: A Critique of Strevens’, Erkenntnis 62: 99-116
- 2005. ‘Do Categorical Ascriptions Entail Counterfactual Conditionals?’, The Philosophical Quarterly 55: 495-503
- 2005. ‘Dispositions and Mimickers’, Philosophical Studies 122:183-188
- 2003. ‘Improving Bird’s Antidotes’,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81: 573-580
- 2003. ‘The Conserved Quantity Theory of Causation and Closed Systems’, Philosophy of Science 70: 510-530
- 2002. ‘Causation and Gerrymandered World Lines: A Critique of Salmon’, Philosophy of Science 69: 105-117
- 2002. ‘The ‘Actual Events’ Clause in Noordhof’s Account of Causation’, Analysis 62: 41-46
- 2020, 「‘마른 장마’는 진정 형용모순인가?:장마와 자연종」, 『대기(한국기상학회)』
- 2020, 「썸타기와 어장관리에 대한 철학적 고찰」, 『철학사상』 78: 67-109
- 2019, 「그럼 군대 다녀온 나는 비양심적이란 말이냐?: ‘양심적 병역거부’라는 용어의 적절성과 개념공학(conceptual engineering)」, 『서울대학교 법학』 60:1 –59
- 2019, 「양심이란 무엇인가?: 양심의 권위에 대한 두 가지 철학적 접근과 대한민국 사법부의 양심 개념」, 『법철학연구』 22: 239-304
- 2019, 「인간의 우주적 초라함과 부조리의 철학: 카뮈와 네이글에 대한 독법」, 『철학적 분석』 41: 33-59
- 2019, 「피해자다움을 위한 변론: 왜 우리는 성범죄 재판에서 고소인의 피해자다움을 물어야 하는가?」, 『법철학연구』 22: 381-456
- 2018, 「자기파괴적 의사와 위력에 의한 간음죄: 법철학적 접근」, 『법과사회』 59: 143-176
- 2018, 「고유명, 그리고 일부 국어학계에서 보여지는 철학의 빈곤: 이홍식에 대한 비판」, 『철학적 분석』 40: 149-179
- 2018, 「시민들은 선거에 참여할 도덕적 의무를 지는가?」, 『법철학연구』 21: 249-288
- 2018, 「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-토마스 쿤이 해리 프랑크푸르트를 만날 때-」, 『철학사상』 70: 123-158
- 2017, 「‘우리 마누라’, ‘우리의 마누라’, 그리고 마누라 공유 공동체」」, 『철학적 분석』 38: 291-326
- 2017. 「선거권과 선거의무란 무엇인가? 」, 『철학적 분석』 37: 39-68
- 2017. 「강진호 교수에게 ‘우리 마누라’란 무엇인가? 」, 『철학사상』 64: 183-215
- 2016. 「우리 마누라’와 험티덤티 문제」, 『철학적 분석』 36: 143-167
- 2016. 「고유명이란 무엇인가? : 왜 선박은 이름이 있지만 비행기는 이름이 없을까? 」, 『철학적 분석』 36: 53-89
- 2016. 「고유명과 명명 : 박재연 교수의 견해에 대하여」, 『한국어의미학』 54: 127-150
- 2016. 「이순신 장군’은 고유명인가 기술구인가?」, 『철학사상』 62: 143-171
- 2009. 「새먼의 과정 인과 이론」, 『철학적 분석』 29: 141-168
- 2005. 「제논의 화살 논변과 러셀」, 『철학적 분석』 12: 33-60
- 2003. 「인과에 대한 영향 이론과 그 적들」, 『과학철학』 11: 123-135
- 2001. 「영향 이론의 문제들」, 『철학적 분석』 4: 137-158
- 2001. 「사건 인과에 관한 반사실적 조건문 분석과 사건 본질」, 『철학』 66: 208-226
- 2001. “인과에 관한 영향 이론과 보존량 이론」, 『철학논총』 23: 293-313
저서 / 기타
- 2020.『그럼 군대 다녀온 나는 비양심적이란 말이냐』, 이학사
- 2019.『인간의 우주적 초라함과 삶의 부조리에 대하여』, 필로소픽
- 2019,『피해자다움이란 무엇인가』, 필로소픽
- 2009. ‘Purely Dispositional World’, in Rob Vanderbeeken and Michael Esfeld (eds.), Analytic Metaphysics, World Scientific
- 2011. Review of A Metaphysics for Scientific Realism by Anjan Chakravartty,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62: 443-451
- 2006. Review of Bayesian Nets and Causality by Jon Williamson, Mind 115: 502-506

송유레 교수
- 서양고대철학, 윤리학
- 학위 : 함부르크 대학교 박사(2008년)
- 연락처 : 02-961-2323
- 연구실 : 교수회관 317호
- 직급 : 부교수
- esong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90-1994 서울대학교 불어교육학과 (전공) & 철학과 (부전공) 학사
- 1994-1996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
- 1996-1998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
- 1998-2006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박사과정,
- 2005-2008 스위스 프리부르대학교 박사과정
- 2008.3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철학 박사
- 2004-2005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철학과 조수(Wissenschaftliche Mitarbeiterin)
- 2005-2008 스위스 프리부르대학교 철학과 조수
- 2008-201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, HK교수 및 경희대학교, 인천대학교, 서울대학교 시간강사
- 2016 미국 뉴욕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방문 학자
- 2012.3 - 현재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
논문
- 영혼의 모상: 플로티누스의 자연과 영혼의 구분. <철학> 144_2020
- 플로티누스의 휘포스타시스 개념. <중세철학> 25_2019.
- 아리스토텔레스의 ‘올바른 선택’: 성격적 덕과 실천적 지혜의 합작. <철학사상> 74_2019
- 악덕의 자발성 -아리스토텔레스의 반-소크라테스적 논증. <철학> 141_2019.
- 행동의 자발성 -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데모스 윤리학을 중심으로. <서양고전학연구> 58/2_2019.
- 생각하지 않는 현자(賢者): 플로티누스의 비-숙고적 행동 모델. <철학연구> 125_2019
- ‘진짜’ 견유(犬儒)를 찾아서: 율리아누스 황제의 견유주의 수용과 그 한계. <철학연구> 123_2018
- 플로티누스의 '무의식적' 행복 이론. <인문학연구> 37_2018
- 좋음을 위한 자유 – 플로티누스의 자유론. <철학연구> 118_2017
- 의지의 기원과 이성적 욕망 – 아리스토텔레스의 소망(boulesis) 개념 연구. <서양고전학연구> 55/2_2016
-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?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. <인문논총> 72/3_ 2015.
- 덕(德)의 미메시스 – 플라톤의 시(詩) 개혁. <철학> 121_2014.
- 신(神)을 향한 에로스? 플로티누스의 철학적 신비주의. <서양고전학연구> 51_2013.
- Ashamed of Being in the Body? Plotinus versus Porphyry, in F. Karfik/ E. Song (eds.)_Plato Revived. Essays on Ancient Platonism in Honour of Dominic J. O’Meara_De Gryuyter_Berlin/Boston 2013.
- 거룩한 철학자의 초상-포르피리오스의 『플로티누스의 생애』를 중심으로. <인문논총> 69_2013
- 악의 기원에 관한 플로티누스의 이론. <중세철학> 18_2012.
- Plotinus on the World-Maker, Horizons 3/1_2012.
- L’apologie de la Providence chez Plotin. L’argument antignostique dans les Traites 47 et 48 (Enneade III 2-3) (forthcoming)
- 플로티누스의 세계제작자: 플라톤의 『티마이오스』의 탈신화적 해석. <철학사상> 42_ 2011
- Une Vie de Platon du VIe siecle (Olympiodore), Traduction et notes, Freiburger Zeitschrift fur Philosophie und Theologie 57/2_2010 (J. Schamp, D. O’Meara et al. 공동논문)
- Der Aufstieg zum Selbst bei Plotin, Theologica Olomucensia 10_2010
- The Ethics of Descent in Plotinus, Hermathena 187_2009.
- Die providentielle Sorge der Seele um den Korper bei Plotin, Philologus 153/1_2009.
- 역사속의 철인왕-율리아누스황제의 인간애. <철학사상> 31_2009
- Philanthropie und Frommigkeit in Platons Euthyphron, Archiv fur Geschichte der Philosophie 90/1_2008
- 플라톤의 『에우튀프론』에 있어서 인간애와 경건. <철학논구> 36_2008(위 논문의 한글판)
- ‘War Plotin Gnostiker?’, 서양고전학연구 30_2007
- ‘La Loi de la nature chez Plotin’, Freiburger Zeitschrift fur Philosophie und Theologie 54, 1/2_2007
저서 / 기타
- 동서양의 접점: 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(하기아 소피아와 거룩함의 기하학),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
- 덕의 귀환. 동서양 덕의 역사: 서양편(박기순 공저),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
- 서양고대철학2 (플로티누스). 도서출판 길 2016
- F. Karfik/ E. Song (eds.), Plato Revived. Essays in Ancient Platonism in Honour of Dominic J. O’Meara, De Gruyter, Berlin 2013.
- 마음과 철학. 서양편 상(공저), 서울대학교출판원 2012 (플로티누스. 신성한 마음)
- Euree Song, Aufstieg und Abstieg der Seele. Diesseitigkeit und Jenseitigkeit in Plotins Ethik der Sorge, Vandenhoeck &Ruprecht, Goettingen 2009
- 문명의 교류와 충돌(공저). 한길사 2013 (알렉산드리아의 히파티아와 고대 그리스-로마 문명의 최후)
- 문명밖으로 – 주류문명에 대한 저항 또는 거부 (공저). 한길사 2011(견유주의, 문명을냉소하다)
- 아리스토텔레스: 에우데모스 윤리학 (역주서). 한길사 2012
- 덕윤리의 르네상스. <인문논총> 68_2012 (서평)
- 플로티노스 철학 입문. <철학사상> 34_2009(주제서평).
- Chang Uh Lee, Stoische Ethik aus naturphilosophischer Pers pektive, Philosophisches Jahrbuch 114/1_2007(서평).
- ‘거룩한 지혜’의 판테온 하기아 소피아. <신동아> 4_2013

정우진 교수
- 한의철학, 도교, 동양과학철학, 중국철학
- 학위 : 경희대학교 한의철학협동과정 철학박사(2010)
- 연락처 :
- 연구실 : 교수회관 117호
- 직급 : 조교수
- presolving@khu.ac.kr
학력 / 경력
- 고려대학교 철학과, 문학사(2000)
-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윤리·철학계열 철학전공, 문학석사(2004)
- 경희대학교 한의철학협동과정, 철학박사(2010)
- 2008.09-2012.12: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, 경희대학교, 청주교육대학교 강사
- 2013.04-2016.03: 경희대학교 철학과 조교수(연구전임)
- 2013.09-2016.03: 경희대학교 철학과 BK사업 “동서양과학문화에 대한 철학적 성찰” 참여교수
- 2014.07-2014.12: 中國 四川大學校 宗敎文化硏究所 방문학자, 초기도교연구
- 2015.11-2016.11: 臺灣 臺中科學技術大學 방문학자, 육조시기도교연구
- 2011.06-2017.10: 한국도가철학회, 한국도교문화학회, 한국도교학회, 한국동서철학회의 총무이사, 연구이사, 연구위원 및 편집위원, 편집위원회 부위원장 역임.
논문
-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?-웨이크필드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 본 정신질환의 연구사적 논의와 전망-_동서철학연구98_2020
- 심과 기 개념으로 고찰한 장자적 삶의 방식-장인을 모델로 삼아-_범한철학99_2020
- 방중의 철학과 몸에 관한 연구_철학사상문화34_2020
- 맹자 본성의 생물학적 해석_동서철학연구93_2019
- 회남자의 통치철학에 관한 연구-자폐적 가부장주의라는 해석에 대한 반론을 중심으로_철학140_2019
- 황정외경경과 황정내경경 수행론의 비교연구_동양철학51_2019
-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ainanzi: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governance_Asian philosophy(28)_2018
- A Study of the Heart of the Huainanzi: With the Contradictory Evaluations of Emotions as Clues_Dao, A Comparative Philosophy(17)_2018
- Practice and Body of the Scripture of Yellow Court_Universitas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(525)_2018
- The motive for dissection and the view of the body in the yellow emperor’s inner classic (Huangdineijing)_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(18, 21-31)_2018
- 淮南子의 허정(虛靜)과 인성: 허정은 인성의 본질적 특성인가?_철학133_2017
- 楊朱사상의 연구_철학131_2017
- 회남자 감응통치 연구_동서철학연구82_2016
- 상청파 연단술 연구_도교문화연구45_2016
- 과학적 질서로서의 이(理)에 관한 연구_동서철학연구78_2015
- 시스템론의 역사와 비판적 해석-한의학에 관한 해석을 중심으로-_범한철학79_2015
- 장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_철학123_2015
- 초기한의학의 신체관: 구성과정을 중심으로_도교문화연구43_2015
- 동양과학의 논리: 감응의 유형에 관한 연구_도교문화연구42_2015
- 기의 존재론적 고찰_철학123_2015
- 수행자로서의 연단술사_주역참동계 연단술의 도가 수양론적 해석_철학121_2014
- 도가의 숨-전한 이전시기 호흡술에 관한 연구-_도교문화연구41_2014
- 장자에서 읽어낸 양생론과 생명관의 변화_범한철학74_2014
- 연금술사의 솥단지-단경요결에서 읽어낸 연금술의 실제_선도문화17_2014
- 관자와 장자 수양론의 연원에 관한 연구_동양철학41_2014
- 동의보감의 이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-한의학과 도교 양생론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-도교문화연구40_2014
- 곽점노자의 양생론 해석_철학119_2014
- 抱朴子 葛洪의 양생술 연구―계보와 이론적 토대 그리고 주요양생술의 실제 및 의미에 관하여 ―_동양철학40_2013
- 전통의 관점에서 고찰한 포박자 갈홍의 연단술_도교문화연구39_2013
- 抱朴子 仙藥편과 登涉편에 보이는 술수와 세계관연구_동양철학연구75_2013
- 老子想爾注 양생윤리—양생의 시대적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—_동양철학연구75_2013
- 한의학과 오행론—오행배속의 작위성과 오행론의 반증불가능성을 중심으로 —_동양철학연구74_2013
- 想爾注 양생론 연구_동양철학연구73_2013
- 煉丹術의 기초적 연구:煉丹術의 범위, 성립시기, 성립요건에 관한 검토_도교문화연구37_2012
- 도교명상법연구 - 葛洪의 ‘守一’을 중심으로-_동양철학38_2012
- 한의철학의 의의와 연구과제_의철학연구14_2012
- 先秦시기 養心적 양생술의 전개에 관한 연구_동양철학연구71_2012
- 양생으로서의 방중에 관한 연구_도교문화연구36_2012
- 동의보감 신형장부도(身形藏府圖)의 지층발굴-오장(五藏)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-_범한철학64_2012
- 침술의 기원에 관한 연구_의사학20_2011
- 방중과 감응-고대 중국인의 마음을 중심으로-범한철학63_2011
- 養生의 기원에 관한 연구_범한철학62_2011
- 풍수의 지리와 한의학의 몸, 왜 동일시되는가?-氣論의 탐색-_인문학연구19_2011
- 感情: 感應의 인지_동서철학연구59_2011
- 經脈의 기원 : 경맥의 기원에 관한 주요가설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_의사학19_2010
- 氣: 깨달음의 세계관_인문학연구18_2010
- 馬王堆 발굴 양생서, 『十問』 譯註_도교문화연구33_2010
- 상관적 사유의 비판적 고찰_범한철학58_2010
- 감응과 한의학_의철학연구9_2010
- 養生과 한의학: 『黃帝內經』의 순환론을 중심으로_도교문화연구32_2010
- 『黃帝內經』 성립자의 정체성과 그 함축-한의학 성립기의 주인공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-_의철학연구8_2009
- 황제내경: 양신과 양형의 교차로 위에 구축된 의론_인문학연구11_2007
- 치료와 병법의 類比_대한한의학원전 학회지19_2006
저서 / 기타
- 양생, 고대 중국의 양생론과 마음(소나무: 2020)
- 몸의 신전(소나무: 2019)
- 노자상이주역주(문사철: 2014)
- 한의학의 봄(청홍: 2015)
- 감응의 철학(소나무: 2016)
- 증산사상의 다층적 분석(청홍: 2015, 공저)
- 동서양문명과 과학적 사유(문사철: 2015, 공저)
-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(청홍: 2008, 공역)
- 강설1황제내경(청홍: 2009, 공역)
- 강설2황제내경(청홍: 2011, 공역)
- 몸의 노래(이음: 2013, 공역)
학력 / 경력
- 9/1995-12/1995 Lecturer, UCLA
- 1/1996-12/1997 I. W. Killam Postdoctoral Fellow, University of Alberta
- 1/1998-7/1999 Postdoctoral Research Fellow, University of Queensland
- 7/1999-8/2000 Permanent Lecturer, Department of Philosophy, University of Glasgow
- 8/2000-6/2005 Assistant Professor, Dept. of Philosophy, Univ. of Minnesota, Twin Cities
- 7/2003-6/2005 McKnight Land-Grant Professor, University of Minnesota, Twin Cities
- 7/2005-6/2006 Associate Professor, Dept. of Philosophy, Univ. of Minnesota, Twin Cities
- 7/2006-present Associate Professor, Dept. of Philosophy (graduate), Univ. of Toronto & Dept. of Philosophy (undergraduate), Univ. of Toronto at Mississauga
논문
- “Rationality and the Prisoner’s Dilemma in David Gauthier’s Morals by Agreement”, Journal of Philosophy 89(9) (Sept., 1992): 484-95.
- “Glymour on Explanation”,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45(3) (Sept., 1994): 914-17.
- [co-authored with Eunshil Bae] “The Problem of Knowing the Forms in Plato’s Parmenides”, History of Philosophy Quarterly 15(3) (Jul., 1998): 271-83.
- “Numbers and Relations”, Erkenntnis 49(1) (1998): 93-113.
- “Is Mereology Ontologically Innocent?”, Philosophical Studies 93(2) (Feb., 1999): 141-60.
- “Is Two a Property?”, Journal of Philosophy 96(4) (Apr., 1999): 163-90.
- “Descending Chains and the Contexualist Approach to Semantic Paradoxes”, Notre Dame Journal of Formal Logic 40(4) (Fall, 1999): 554-67.
- “Compact Entailment and Wright’s Verification Principle”, Mind 110(438) (Apr., 2001): 413-21.
- “Wright and Suarez on the Verification Principle”, Analysis 63(1) (Jan., 2003): 58-61.
- “Newcomb’s Paradox and Priest’s Principle of Rational Choice”, Analysis 63(3) (Jul., 2003): 237-42.
- “The Logic and Meaning of Plurals. Part I”,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34(5-6) (Oct./Dec., 2005): 459-506.
- “The Logic and Meaning of Plurals. Part II”,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35(3) (June, 2006): 239-88.
- “Zeno Series, Collective Causation, and Accumulation of Forces”, Korean Journal for Logic 11 (2) (August, 2008): 129-171.
- “The cyclical argument and principles of change in Plato’s Phaedo”, Logical Analysis & History of Philosophy 12 (2009): 85-102.
- “Chinese classifiers and count nouns”,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0(2) (Jul.-Dec. 2009): 209-225; reprinted in Young-Wha Kim et al. (eds.),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
- (Hankookmunhwasa, 2011): 245-264.
- “What is a numeral classifier?”, Philosophical Analysis,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alytic Philosophy, 23 (June 2011): 195-258; partially reprinted in Young-Wha Kim et al.
- (eds.),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 (Hankookmunhwasa, 2011): 1-51.
- “Afterthoughts on Chinese classifiers and count nouns”, in Young-Wha Kim et al. (eds.),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 (Hankookmunhwasa, 2011): 265-282.
- “Plural quantifications and generalized quantifiers”, in de Groote, P. and Nederhof, M.-J. (eds.), Formal Grammar 2010/2011 (LNCS 7395) (Springer, 2012): 178-191.
- “Conditionals and a two-envelope paradox” (formerly “The two-envelope paradox with no probability”), forthcoming in Journal of Philosophy [41 pages; 10,880 words].
- “Is there a plural object?”, forthcoming in Aaron J. Cotnoir and Don Baxter (eds.), Composition as Identity, Oxford University Press [37 pages, 9,507 words].
- “The logic of classes of the no-class theory”, forthcoming in Nicholas Griffin and Bernard Linsky (eds.), The Palgrave Centenary Companion to Principia Mathematica, Palgrave
- Macmillan [52 pages; 14,349 words].
- “Generalized quantifiers and plural constructions”, forthcoming in Massimiliano Carrara, Friederike Moltmann, and Alexandra Arapinis (eds.), Plurality and Unity: Philosophy,
- Logic, and Semantics, Oxford University Press [44 pages; 10,768 words].
저서 / 기타
- Understanding the Many, New York & London: Routledge, 2002, pp. 118+xxii [revised version with a new preface of the Ph.D. Dissertation in Routledge’s Studies in Philosophy:Outstanding Dissertations in Philosophy series, edited by Robert Nozick].

이한구 겸직교수
- 역사철학, 문화철학
- 학위 :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박사(1981년 2월)
- 연락처 : 02-961-9132
- 연구실 : 네오르네상스관 209호
- 직급 : 겸직교수
- turtlee@khu.ac.kr
학력 / 경력
- 1968. 02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
- 1981. 02 서울대학교 철학박사
- 2014. 07 ∼ ……..현재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
- 2013. 03 ∼ ……..현재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석좌교수
- 2013. 08 ∼ ……..현재 Scopus 한국저널선정위원회 위원
- 2011. 03 ∼ ……..현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명예교수
- 2010. 08 ∼ 2012. 08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본부장
- 2008. 10 ∼ 2011. 10 원효학술상 운영위원회 위원장
- 2007. 07 ∼ 2008. 08 영문학술지 Philosophy and Culture 편집위원장
- 2007. 06 ∼ 2007. 07 국기에 대한 맹세문 검토위원회 위원장
- 2006. 06 ∼ 2007. 06 한국철학회 회장(37대)
- 2006. 03 ∼ 2007. 02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펠로교수
- 2005. 03 ∼ 2011. 02 성균관대학교 비판적사고와 문화연구소 소장
- 2004. 08 ∼ 2012. 11 계간 『철학과 현실』 편집위원장
- 2003. 02 ∼ 2009. 08 성숙한 사회 가꾸기 모임 집행위원장
- 2002. 07 ∼ 2004. 06 철학연구회 회장(22대)
- 2000. 09 ∼ 2004. 07 성균관대학교 인문학부 학부장
- 1999. 03 ∼ 2000. 02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연구교수
- 1998. 03 ∼ 1999. 02 성균관대학교 교학처 처장
- 1997. 09 ∼ 1998. 02 교육부 고등교육 추진위원회 자문위원
- 1997. 07 ∼ 1999. 07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
- 1997. 02 ∼ 1998. 08 성균관대학교 교무처 처장
- 1997. 02 ∼ 1998. 08 문화체육부 문화기획단 기획위원
- 1995. 06 ∼ 1995. 08 일본 동경여자대학교 연구교수
- 1995. 03 ∼ 2004. 03 『4월의 소리』 편집위원장
- 1995. 03 ∼ 1997. 0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교학처 처장
- 1993. 03 ∼ 1995. 02 한국분석철학회 회장(7대)
- 1989. 07 ∼ 1990. 08 미국 브라운 대학교 연구교수
- 1982. 12 ∼ 1983. 12 독일 뮌헨대학교 연구교수
- 1980. 03 ∼ 2011. 02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부교수, 교수
- 7/2006-present Associate Professor, Dept. of Philosophy (graduate), Univ. of Toronto & Dept. of Philosophy (undergraduate), Univ. of Toronto at Mississauga
논문
- An Evolutionary Explanation Model on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by Cultural Genes(Vol.8/No.2/83p.-101p.), Social Evolution &History, 2009
- Is Karl Popper’s Critique of Historicism Valid?(Vol.4/111p.-122p.), Philosophy and Culture, 2008
- 유토피아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과 유형화(제110집/27쪽-48쪽.), 『철학』, 2012
- 「한국인의 유토피아」, 『유토피아 인문학』, 2013
- 「유토피아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과 유형화」, 『철학』110집, 2012
- 「역사주의와 반역사주의」, 『韓國史學史學報』 24호, 2011
- 「열린사회와 새로운 적들」, 『비판적사고와문화』 제1집, 2010
- 「역사주의의 현대적 재구성과 그 비판」, 『학술원 논문집』인문·사회과학편 제49집, 2010
- An Evolutionary Explanation Model of Cultural Transformation by Cultural Gene, Social Evolution and history Vol. 8 No. 2 (Moscow:’Uchitel’Publishing House), 2010
- 「객관주의 역사학을 위한 변론」, 『역사학보』201집(역사학회), 2009
- 「역사서술은 사실의 발견인가, 허구의 창작인가?, 『한국사학 사학보』18권, 2008
- Is Karl Popper`s Critique of Historicism Valid?, Philosophy and Culture Vol. 5, 2008
- 「문화의 변화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모형」, 『철학』94집, 2008
-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for the Fusion of Civilization, Proceedings of the Seoul Congress of Asian Philosophy, 2007
- 「열린사회의 유토피아」, 『철학연구』74집, 2006
- 「동아시아공동체를 위한 역사철학적 과제」, 『철학과 현실』71집, 2005
- 「역사를 보는 관점의 다양성과 역사인식의 객관성」, 『철학연구』65집, 2004
- 「디지털시대의 다양한 민주주의와 그 정당성」, 『철학연구』64집, 2004
- 「한국의 서양철학 이해에 끼친 일본의 영향」, 『인문과학』34집, 2004
- 「성에 관한 철학적 담론의 세 유형」, 『철학연구』63집, 2003
- 「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철학」, 『철학연구』59집, 2003
저서 / 기타
- 『역사주의와 반역사주의』(3·1문화상 수상작), 철학과 현실사, 2010
- 『역사학의 철학』(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작), 민음사, 2007
- 『객관적 지식』(K. Popper 저), 철학과 현실사, 2013
- 『칸트의 역사철학』(I. Kant 저, 개정판), 서광사, 2009
- 『파르메니데스의 세계』(K. Popper 저), 영림카디널, 2009
- 『영구 평화론』(I. Kant 저, 개정판), 서광사, 2008
- 『열린사회와 그 적들Ⅰ』(K. Popper저, 개정판), 민음사, 2006
- 『철학적 분석』(J. O. Urmson저, 개정판), 철학과 현실사, 2002
- 『추측과 논박 Ⅰ, Ⅱ』(K. Popper저), 민음사, 2001
학력 / 경력
- 1965년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
- 1979년 벨기에 루벵 대학교 철학 박사
- 1979년 ~ 2004년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
- 2004년 ~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명예교수
논문
- 문화적 국가론, 연변대학
- 마르크스주의의 무신론과 기독교의 답변, 분도출판사, 1982
- 카톨릭의 욕망론, 경서원, 1995
저서 / 기타
- Le probleme de l’Etre et chez maurice blondel(박사학위논문), Leuven, 1974
- 카톨릭의 인간관(철학과 종교1집), 비교철학연구소
- 종교와 인간 – 초월의 모습(퇴임기념 논문집), 작은이야기, 2004
- 인간이란 무엇인가(공저), 민음사, 1997
- 내심낙원(Interior Carmel), 성바오로출판사, 1966
- 인간학, 신학, 형이상학(프랑스 고교철학 1), 앙드레 베르제, 삼협종합출판부, 1999
- 인간과 세계(프랑스 고교철학 2), 앙드레 베르제, 삼협종합출판부, 1999
- 지식과 이성(프랑스 고교철학 3), 앙드레 베르제, 삼협종합출판부, 1999
- 실천과 목적(프랑스 고교철학 4), 앙드레 베르제, 삼협종합출판부, 2000
- 텍스트에서 행동으로, 폴 리퀘르/공역, 아카넷, 2002

이풍실 교수
- 언어철학, 심리철학
- 학위 : 스탠포드 대학교 박사 (2017)
- 연락처 : 02-961-2106
- 연구실 : 교수회관 207호
- 직급 : 조교수
- pslee99@khu.ac.kr
학력 / 경력
- 2005년 2월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(졸업논문: 「플라톤의 『파이돈』 연구」)
- 2007년 8월 서울대학교 철학과 문학석사 (학위논문: 「엘레아 학파의 제논의 여럿에 대한 논증 해석」)
- 2011년 2월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(서양철학) 수료
- 2011년 9월~2017년 6월 스탠포드 대학교(Stanford University) 철학박사 (학위논문: ‘Mental Files and Shallow Pretense’)
- 2017년 9월~2017년 12월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시간강사
- 2017년 9월~2018년 2월 연세대학교 철학과 시간강사
- 2018년 3월~2020년 2월 서울대학교 철학과 시간강사
- 2018년 3월~2020년 2월 경희대학교 철학과 시간강사
논문
- Forthcoming. ‘Co-filing and de jure co-referential thought in the mental files framework’, Erkenntnis
- 2018. ‘Mental Files, Concepts, and Bodies of Information’, Synthese 195(8): 3499-3518
- 2020. 「고유명은 지표사인가? -고유명에 대한 르카나티의 지표사 이론의 옹호」, 『철학』 145: 185-219
- 2020. 「고유명의 사회성 -발생적 이론과 개인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」, 『철학』 144: 229-268
- 2020. 「에반스의 지배적 원천 이론과 디키의 비판」, 『철학사상』 76: 39-84
- 2019. 「단칭 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 없는 표준적 고유명에 대한 설명의 문제점 -최성호의 사례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」, 『철학적 분석』 41: 81-105
- 2019. 「심적 내용 외재주의와 특권적 접근 사이의 양립불가능성 문제 -맥킨지의 논증에 대한 브뤼크너의 비판의 실패」, 『철학』 139: 229-259
- 2019. 「존재부정 진술의 발화 진리조건과 양상적 내용의 구분 -크리민스의 얕은 척하기 이론에 대한 부분적 옹호」,『철학사상』 72: 235-271
- 2018. 「크립키의 뉴턴/조지 스미스 문제 –고유명에 대한 이름사용관행중심 이론의 제안」,『철학』 137: 185-217
- 2018. 「고유명과 단칭사고의 전달: 제션의 인지주의의 문제점」,『철학적 분석』 40: 1-30
- 2011. 「경험주의와 비개념주의 -비개념적 내용을 갖는 지각 경험은 지각적 믿음의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가?」,『철학연구』94: 193-234
- 2011. ‘Can the Cure for Metaphysical Realism Work? -The Case of Donald Davidson’ 『철학논구』 39: 49-83
- 2010. 「비개념적 내용과 순환성 논증」,『철학연구』88: 259-281
- 2009. 「비개념적 내용과 세밀성 논증 -켈리의 논증을 중심으로」,『철학』99: 245-268
- 2007. 「엘레아 학파의 제논의 여럿에 대한 논증 해설」, 『철학논구』 35:71-105
- 2004. 「플라톤의 『파이돈』편에 제시된 혼의 불멸성에 관한 논증과 로고스, 존재 개념에 대한 논구」, 『철학논구』 32: 217-237